대한의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대한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7 17:01

본문

대한의사협회는 27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제77차 정기대의원총회를 개최했다. 대한의사협회 제공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의료 정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의지를 드러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일부 후보가 내놓은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대응 방안도 준비 중이다.김택우 의협 회장은 27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77차 정기대의원총회에서 “대선기획본부를 구성해 의료 관련 공약들이 또 다른 의료개악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 타당성을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며 정책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현재 각 대선 캠프에선 공공의료 강화를 비롯해 의과대학 정원 합리화, 필수·지역의료 활성화 등 다양한 보건의료 의제가 제시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는 공공의대 설립과 의대 정원 합리화를 핵심으로 한 의료 공약을 발표하며 의료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고 공공의료 인프라를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반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은 공공의대 신설에 거리를 두고 우선 의료계와의 합의를 바탕으로 의대 정원을 재조정하겠다고 나섰다.김 회장은 “실패한 보건의료 정책을 바로잡고 올바른 방향으로 재정립하기 위해선 의료계의 힘을 하나로 모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회에서 발의되는 법안들에 대해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대응해 문제점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의협은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대응 방안을 신중하게 준비하고 있다”면서 “군의관, 공중보건의의 복무 기간 단축을 위한 법안 마련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현 정부를 향한 비판도 이어갔다. 김 회장은 “1년 이상 지속된 의료농단 사태는 우리 국민과 사회 전체에 깊은 상처와 후유증을 남겼고, 2000명이라는 의대 증원 숫자가 어떻게 결정됐는지 여전히 알 수 없다”라며 “의료계에 대한 존중은 찾아볼 수 없고, 장관은 무기력하고 차관의 부적절한 언행은 의료계의 분노와 연쇄적 반발을 야기했다”고 주장했다.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의료 시스템은 심각하게 훼 2024년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 참석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024년 5월 프랑스 국빈방문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AFP연합뉴스 미·중이 관세 협상을 두고 ‘진실게임’을 벌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고 말하면 중국 정부가 협상한 사실도 없다고 받아치는 패턴이 반복된다.진실게임 바탕에는 중국의 물밑 협상 시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6일 중국은 물밑 협상을 타진하지만 미국은 중국이 원하는 방식의 협상을 계속 거부하면서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 정황을 시사하는 보도를 내보냈다.보도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트럼프 대통령을 불신한다. 트럼프 대통령과 쉽사리 협상했다가는 이용만 당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학습 효과가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 거론된다.중국은 2016~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대북 제재에 적극 협력했다. 미국은 이를 통해 촘촘한 대북 협력망을 구축했다. 이듬해 미국이 대중국 관세를 부과하며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됐다.장바오후이 홍콩 링난대 교수는 “중국은 미국의 대북 구상에 동참해 미국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고 믿었지만 관세전쟁이 시작되자 중국 지도부는 깜짝 놀랐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철저히 대비하는 가운데 “대중국 강경파 인사들이 내각에 기용되는 것을 보고 처음부터 접촉을 망설였다”고 전했다.주한미군이 북한 아닌 중국 위협 대응에 투입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앨브리지 콜비 국방차관, 티베트·홍콩·위구르 문제를 적극 제기하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대표적 인사들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시기 미·중관계는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대만 문제 등에서 더욱 악화할 수 있다. 중국 입장에서 ‘가장 많은 패를 갖고 있는’ 관세부터 밀리면 안 된다는 안 된다는 인식이 있다.트럼프 행정부 공식 인사에 대한 불신이 큰 만큼 ‘비공식 접촉’으로 신뢰부터 쌓는 것이 중국의 방식이다. 1기 미·중 무역전쟁에서 비공식 접촉이 협상에 큰 도움이 됐고, 미국 측 인사들이 앞다퉈 대중국 물밑 채널을 자처했다. 하지만 2기 행정부에서는 이 역시 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