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어 의료·환경 공약 발표“지방의료원 지원 강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경제 이어 의료·환경 공약 발표“지방의료원 지원 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22 23:38

본문

경제 이어 의료·환경 공약 발표“지방의료원 지원 강화… 거점기관 육성응급·분만 등 필수의료, 국가가 책임”의대 증원 시사… 구체적 숫자 안 밝혀시민사회 일각 “의사 눈치보기” 지적“전기차 보급 확대 미세먼지 줄일 것”국가차원 ‘脫플라스틱 로드맵’ 약속도‘기후에너지부’ 신설 방안도 검토 나서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후보가 공공의대 설립을 포함한 공공의료 강화 방안과 의대 정원 합리화 등 의료분야 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을 폐쇄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환경 분야 정책도 내놨다 이 후보는 2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의료 분야와 기후·환경 분야 정책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의료 정책 핵심 키워드로 ‘공공의료 강화’를 내걸었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 양성과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 확충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또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겠다”며 “응급·분만·외상치료 등 필수 의료는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건강보험 재정 안정과 효율적 사용을 위해 건강보험제도를 개혁하고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후보. 연합뉴스 윤석열정부의 핵심 정책과제였던 의대 증원과 관련해서는 ‘의대 정원 합리화’를 제시했다. 이 후보는 “지난 의료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 정부의 일방적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며 “이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의 의료 공약을 두고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의료계 눈치보기’라며 구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공공의대 설립은 앞서 문재인정부도 추진했고 이 후보 또한 2022년 민주당 대표 시절 “공공의대 설립법을 처리하겠다”고 밝혔지만 의료계의 반발로 실제 이뤄지지 않았다. 이 후보는 의대 증원을 시사하면서도 구체적 숫자 대신 ‘합리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집단 휴학 등 의대생들의 저항 속에 최근 교육부가 내년도 증원 방침을 철회한 상황에서 의정 갈등이 반복될까 의식하는 듯한 모습이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공공의대 설립도 의사 증원이 핵심이지만경제 이어 의료·환경 공약 발표“지방의료원 지원 강화… 거점기관 육성응급·분만 등 필수의료, 국가가 책임”의대 증원 시사… 구체적 숫자 안 밝혀시민사회 일각 “의사 눈치보기” 지적“전기차 보급 확대 미세먼지 줄일 것”국가차원 ‘脫플라스틱 로드맵’ 약속도‘기후에너지부’ 신설 방안도 검토 나서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후보가 공공의대 설립을 포함한 공공의료 강화 방안과 의대 정원 합리화 등 의료분야 정책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2040년까지 석탄 발전을 폐쇄하겠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후·환경 분야 정책도 내놨다 이 후보는 2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의료 분야와 기후·환경 분야 정책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의료 정책 핵심 키워드로 ‘공공의료 강화’를 내걸었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 양성과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 확충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또 “지방의료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공공의료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겠다”며 “응급·분만·외상치료 등 필수 의료는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건강보험 재정 안정과 효율적 사용을 위해 건강보험제도를 개혁하고 환자의 권리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의료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후보. 연합뉴스 윤석열정부의 핵심 정책과제였던 의대 증원과 관련해서는 ‘의대 정원 합리화’를 제시했다. 이 후보는 “지난 의료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 정부의 일방적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며 “이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중심으로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의 의료 공약을 두고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의료계 눈치보기’라며 구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공공의대 설립은 앞서 문재인정부도 추진했고 이 후보 또한 2022년 민주당 대표 시절 “공공의대 설립법을 처리하겠다”고 밝혔지만 의료계의 반발로 실제 이뤄지지 않았다. 이 후보는 의대 증원을 시사하면서도 구체적 숫자 대신 ‘합리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집단 휴학 등 의대생들의 저항 속에 최근 교육부가 내년도 증원 방침을 철회한 상황에서 의정 갈등이 반복될까 의식하는 듯한 모습이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공공의대 설립도 의사 증원이 핵심이지만 의대생 증원에 대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