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섬 국가 자료 사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4-23 15:40본문
태평양 섬 국가 자료 사진. 세계기상기구(WMO) 제공 기후 위기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섬나라들의 생태계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해수면은 전 세계 평균의 두 배, 해수면 온도는 세 배 상승해 섬 주민들의 삶이 위협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 태평양 도서 국가들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비정부기구(NGO) ‘기후미디어허브’를 통해 낸 ‘태평양 지역에 나타난 기후 위기 영향’ 보고서를 보면, 태평양 서부 열대 지역은 1993년 이후 해수면이 약 10~15cm 상승했다. 전 세계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향후 30년 동안 투발루와 키리바시, 피지 등 태평양 섬나라는 해수면이 최소 15cm 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발루 일대는 현재 연간 조수 범람일이 5일 미만이지만, 2050년대에 이르면 평균 25일 범람이 일어날 수 있다. 같은 기간 키리바시 일부 지역의 범람일은 연간 5일 미만에서 평균 65일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해수면 온도 오름세도 가파르다. 남서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1980년 이후 전 세계 평균에 비해 세 배 빠르게 상승했다. 해양 폭염의 발생 빈도 역시 두 배 가까이 늘었다.기상 이변도 심상치 않다. 1975년부터 2009년 기간 동안 남태평양 지역에서 카테고리 4, 5에 해당하는 강력한 열대성 폭풍(사이클론) 발생 빈도가 늘었다. 카테고리는 열대성 폭풍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카테고리 1이 가장 약하고 카테고리 5가 가장 강하다.2015년에는 카테고리 5에 달하는 사이클론 팸(Pam)이 바누아투를 강타했다. 바누아투는 4억4940만달러 규모의 피해를 보았다. 바누아투의 국내총생산(GDP)은 약 7억5800만달러 수준인데, GDP의 60%에 가까운 피해를 본 것이다. 2016년에 발생한 사이클론 윈스턴(Winston)은 피지에 43명의 사망자를 내고 GDP 3분의 1 수준의 경제적 피해를 남겼다.2018년에는 통가가 열대성 폭풍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었다. 카테고리4 사이클론 기타(Gita)는 통가 인구의 2025 오사카 엑스포에서 ‘오사카 메트로’가 제작해 시범 운영 중인 자율주행버스. 버스 앞뒤로 각종 카메라와 센서가 달려 있다. 오사카=황인찬 특파원 hic@donga.com 황인찬 도쿄 특파원 《14일 일본 오사카 간사이 만국박람회(오사카 엑스포)의 한 순환버스 정류장. 카메라와 센서를 가득 단 특이한 외형의 버스가 들어왔다. 이 버스는 ‘오사카 메트로’가 개발한 자율주행 전기버스. 사람이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목적지까지 스스로 운전할 수 있다. 완전자율주행 ‘레벨4’로 제작된 버스다. 편도 400엔(약 4000원)을 내고 버스에 탔다. 좌석은 13개였고 승객은 기자 혼자였다. 천천히 출발한 버스는 직선도로에서 최고 20km, 커브길에서 10km로 달렸다. 거북이 걸음 같은 느린 속도였지만 주변 차들을 피해 알아서 움직였다.》13일 개막한 오사카 엑스포는 158개국이 참가해 각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장이다. 또한 ‘생명이 빛나는 미래 사회 디자인’을 주제로 열리는 만큼 첨단 기술을 실증하는 거대한 시연의 무대이기도 했다.● 각종 첨단 기술의 시연장10분쯤 달렸을까. 왼편에서 경보음이 울리더니 버스가 멈춰 섰다. 긴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운전석에서 대기하던 운전사가 곧 수동운전을 시작했다. 버스에 동승한 오사카 메트로의 관계자는 “일부 센서가 장애물을 인식 못 하는 것이 확인돼 급히 수동 운전으로 전환했다”면서 “가끔 이런 일이 발생한다. 아직은 실험 단계”라고 설명했다. ‘오사카 메트로’가 제작한 자율주행버스 내부 모습. 운전석 뒤 부착된 모니터들이 주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있다. 오사카=황인찬 특파원 hic@donga.com‘ 자율주행 버스가 마냥 먼 미래의 일은 아니다. 고령화가 심각한 일본에서는 운전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전국 10곳을 선정해 자율주행 ‘레벨4’ 시범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다만 실제 탑승해 보니 실용화까지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아 보였다. 상상을 구현해 낸 듯한 기술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