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올해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4-18 22:30

본문

올해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정식 도입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약 한달이 지난 가운데, 학교 현장에선 이전과는 다른 수업 환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최수현 기자 올해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정식 도입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약 한달이 지난 가운데, 학교 현장에선 이전과는 다른 수업 환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30분께 찾은 대구 용계초등학교 영어실에선 영어 수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다만 학생들의 책상 위엔 서책형 교과서가 아닌 태블릿이 하나씩 올려져 있었다.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에 따라 각자 이어폰을 착용한 채 각자의 책상 위 태블릿에 집중했다. 학생들은 화면에서 흘러나오는 원어민의 "Are you tired?"를 듣고 따라하며 녹음했다. 녹음이 끝난 후 AI 디지털 교과서는 원어민의 발음과 학생의 발음을 비교해 나타냈다. 유사도를 평가하는 점수와 억양의 유사도를 알려주는 그래프가 표시됐다. AI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 현장의 모습이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맞춤 학습 기회를 지원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을 포함한 지능 정보화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학습자료 및 학습지원 기능 등을 탑재한 교과서다. 학생들은 AI 디지털교과서의 전반적인 학습 능력 향상에는 만족하지만 아이디와 비번을 만들고 로그인하는 게 번거롭고, 기기와 인터넷 문제로 인해 종종 늦어지는 경우가 있어 불편하다고 답했다. 임성호(11)군은 "종이 교과서는 무거운데 AI는 태블릿만 들고 다니면 돼서 편리하다. 수학문제의 경우 AI가 틀린 답을 알려주고 비슷한 문제를 풀게 해줘서 다시 틀리지 않게 해준다. 지식의 기초를 탄탄하게 해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다원(10)양은 "다양한 문제를 풀 수 있어서 좋고 틀린 문제랑 비슷한 문제뿐만 아니라 심화문제까지 풀 수 있어서 좋다. 다만 종종 (기기가) 느려지는 경우가 있어 불편하다"고 말했다. 정식 도입을 앞두고도 지속된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른 재정 부담과 학생 문해력 하락 등 각종 논란 속, 지난 2월 교육부가 개학을 앞두고 조사한바에 따르면 대구지역에선 98%의 학교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채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채택률 2위인 강원(49 [서울=뉴시스]올해 마포아트센터 상주음악가 '엠(M) 아티스트'로 선정된 바리톤 박주성이 18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라운드 테이블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마포아트센터 제공)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우연히 본 오페라가 굉장히 재미있어서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 노래를 하다, 사랑에 빠져 성악가가 됐어요."올해 마포아트센터 상주음악가 '엠(M) 아티스트'로 선정된 바리톤 박주성은 18일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린 라운드 테이블 에서 "인문계 고등학교를 다니다 오페라 카르멘을 봤는데, 이런 예술이 있다는 것에 굉장히 큰 매력을 느꼈다"면서 성악가가 된 배경을 전했다. 국내 공연장이 성악가를 상주 음악가로 내세운 것은 박주성이 처음이다.박주성은 연세대학교 성악과를 실기 수석으로 졸업한 국내파다. 예술고등학교를 나오지도, 해외 유학을 하지도 않았지만 해외에서 실력을 인정 받았다. 2021년 'BBC 카디프 싱어 오브 더 월드(Cardiff Singer of the World)' 콩쿠르 본선에 진출해 주목을 받았고, 같은 해 플라시도 도밍고가 주최하는 '오페랄리아(Operalia)' 국제성악콩쿠르 3위, 2023년 오스트리아 빈 '헬무트 도이치(Helmut Deutsch)' 독일 가곡 콩쿠르 2위에 입상하며 세계 무대에서 입지를 다졌다. 2021년 한국인 최초로 오스트리아 빈 국립 오페라 극장 '영아티스트'로 선정됐으며, 현재도 빈 국립오페라 극장 전속 솔리스트로 국제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타고난 성악가가 아니라 '노력형'이라고 했다. 박주성은 "고등학교 가창 시험 때 선생님으로부터 만점을 받은 적이 있지만, 노래를 잘하는 편은 아니었다"며 "음대 성악과도 삼수를 해서 들어갔다. 학교에 들어가서도 제일 잘한다는 말은 못 들었고, 한국에서 콩쿠르 경력도 화려하지 않았다"고 했다.그랬던 그가 주목을 받은 건 코로나 팬데믹 시기였다고 한다. 그는 "코로나 팬데믹이 활동 중이던 사람들에겐 힘든 시기였던 반면, 저한테는 기회의 시간이었다"며 "2020년 빈 국립오페라극장 영아티스트를 뽑는 감독이 영상을 보고 오디션을 봤는데, 극장 관계자가 '뭐 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