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효 기자]▲ 창원기후행동은 지구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4-21 06:43본문
[윤성효 기자]▲ 창원기후행동은 지구의날(4월 22일)을 맞아 19일 창원만남의광장~상남동 분수광장 사이를 왕복으로 걷는 ‘기후행진’을 벌였다. ⓒ 윤성효▲ 창원기후행동은 지구의날(4월 22일)을 맞아 19일 창원만남의광장~상남동 분수광장 사이를 왕복으로 걷는 ‘기후행진’을 벌였다. ⓒ 윤성효 "우리가 살아갈 지구를 이젠 좀 제발 지켜주세요." '미래를 걱정하며 잠 못 이룬다'고 고백한 이창민 진해신항중학교 학생(3년)이 한 말이다. 창원기후행동이 지구의날(4월 22일)을 맞아 19일 창원만남의광장~상남동 분수광장 사이를 왕복으로 걷는 '기후행진'을 벌였고, 이 학생이 청소년발언을 했다.이창민 학생은 "얼마 전 산불로 자연의 소중함과 무서움을 동시에, 그 푸른 나무들 사이로 불길이 솟아올라 민가를 덮치고 빠른 속도로 바람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을 보며, 처음에는 불을 낸 사람을 원망하다가 어느 순간 왜 그렇게 불길이 빠르게 번져야 했는지 이유가 궁금해졌다"라고 말했다.이어 "많은 의견들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온이 높아진 반면 강수량은 줄어든 것이 원인이었다는 것을 보고 그럴만 했겠다고 생각했다"라며 "예전보다 겨울은 따뜻해졌고, 비 오는 날도 줄어든 것을 저도 느꼈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동네 이야기를 한 그는 "우리 동네에 망개산이 있었다. 그런데 진해신항을 만들면서 산을 깎아버렸다. 신항이 원래 바다였던 곳이었고, 기후온난화로 여름에 비가 너무 많이 쏟아져 저희 동네는 물난리가 나서 아파트가 정전이 되는 일도 있었다"라고 했다.이어 "계속 산을 없애고, 논을 갈아엎고 공장을 짓고 아파트를 만드는 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요즘은 걱정이 되기도 한다"라며 "학생인 저희들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고 답답한 마음이다. 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는 4월부터 11월까지 여름일 것이라는 뉴스에 정말 아찔했다. 더운 여름을 어떻게 견딜지도 걱정이지만 여름이 길어지면서 폭우도 걱정이고 푹푹찌는 더위도 걱정이 된다"라고 덧붙였다.이창민 학생은 "이전엔 전기를 아껴 쓰라는 말도 들었 패티 스미스와 음향예술가 스테판 크라스닌스키가 10년간 협업한 전시 ‘끝나지 않을 대화’가 19일 서울 남창동 피크닉에서 개막했다. ‘메데이아’와 ‘파솔리니’ 작품이 상영되는 2층 전시 전경. 피크닉 제공 아마존 숲의 사각거림, 체르노빌 땅을 흔드는 작은 진동, 파주 비무장지대(DMZ)를 지나는 바람….남자는 언제나 이런 장소로 훌쩍 떠난다. 그곳에서 ‘소리’를 채집한다. 예측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는 시간의 흔적과 세계의 기억을 담아 미국 뉴욕으로 돌아온다. 여자는 남자가 녹음해온 시간의 흔적을 함께 듣는다. 마음으로 떠나는 두 번째 여행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쓴다. 시가 되기도, 소설이 되기도, 짧은 문장이 되기도 한다.◇소리와 시가 주고받은 대화이것은 미국 ‘펑크록의 대모’로 불리는 패티 스미스(79·아래사진 왼쪽)와 음향예술가 스테판 크라스닌스키(56·아래사진 오른쪽)가 지난 10년 넘게 함께 해온 작업 방식이다. 크라스닌스키는 뉴욕과 독일 베를린을 기반으로 전자음악, 필드 레코딩, 환경음을 결합해 독창적인 음악적 풍경을 만드는 2인조 그룹 ‘사운드워크 컬렉티브’의 창립 멤버다. 이들의 작업은 소리와 시가 주고받는 대화로 요약된다. 역사의 비극과 치유, 인간성의 회복을 함께 외쳐왔다.두 사람이 10년간 함께한 작업과 한국 땅에서 영감을 받은 신작 등 8점의 영상 및 드로잉, 설치 작품이 처음으로 서울을 찾았다. 지난 19일 서울 남창동 복합문화공간 피크닉에서 개막한 전시 ‘끝나지 않을 대화(Correspondences)’에서 만난 스미스는 “스테판의 소리는 기억이고, 나의 시는 응답이다”며 “이 전시는 영원히 끝나지 않을 대화의 일부”라고 했다.남산 자락에 있는 4개 층의 전시 공간은 옥상까지 차곡차곡 이들의 작품으로 쌓였다. 크라스닌스키가 역사적인 장소들을 찾아가 수집한 소리에 스미스의 시 읽는 목소리가 겹친다. 고대 신화 속 메데이아의 서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데이아’, 체르노빌 원전 사고 후를 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