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 > 문화강좌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문화강좌갤러리

문화강좌갤러리 HOME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coajfieo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4-21 19:26

본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사임을 압박하면서 달러화 가치와 미국 주식 선물 가격이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또 출렁거렸습니다. 현지시각 21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 사퇴 압박 여파로 이날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휴일이어서 거래는 많지 않았지만 달러화 가치는 이날 하락으로 3주 연속 약세를 기록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통화 가치는 상승했습니다. 엔화는 지난해 9월 말 이후 최고 수준으로, 유로화는 3년 만에 최고치로 각각 올랐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평가는 미국 국채 가격 하락과 금값 상승으로도 이어졌습니다. 싱가포르 OCBC은행의 크리스토퍼 웡 전략가는 “솔직히 파월 의장을 해임한다는 건 믿기 어려운 일”이라면서 “연준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면 달러에 대한 신뢰도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17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한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 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18일 기자들과 만나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에 대해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답해 파월 의장 해임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백악관의 파월 의장 사임 압박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그는 미 CBS 방송에서 “경제학자들은 정치적 간섭으로부터의 통화 독립성, 즉 연준이나 다른 중앙은행이 독립적으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하고 있다”고 사임 압박을 비판했습니다.[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사임을 압박하면서 달러화 가치와 미국 주식 선물 가격이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또 출렁거렸습니다. 현지시각 21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 사퇴 압박 여파로 이날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휴일이어서 거래는 많지 않았지만 달러화 가치는 이날 하락으로 3주 연속 약세를 기록했으며, 상대적으로 다른 통화 가치는 상승했습니다. 엔화는 지난해 9월 말 이후 최고 수준으로, 유로화는 3년 만에 최고치로 각각 올랐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평가는 미국 국채 가격 하락과 금값 상승으로도 이어졌습니다. 싱가포르 OCBC은행의 크리스토퍼 웡 전략가는 “솔직히 파월 의장을 해임한다는 건 믿기 어려운 일”이라면서 “연준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면 달러에 대한 신뢰도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17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한 파월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촉구하면서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 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18일 기자들과 만나 파월 의장의 해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팀은 그 문제에 대해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답해 파월 의장 해임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백악관의 파월 의장 사임 압박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그는 미 CBS 방송에서 “경제학자들은 정치적 간섭으로부터의 통화 독립성, 즉 연준이나 다른 중앙은행이 독립적으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거의 만장일치로 동의하고 있다”고 사임 압박을 비판했습니다.[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제보하기▷ 전화 : 02-781-1234, 4444▷ 이메일 : kbs1234@kbs.co.k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내용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